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계모와 의붓딸의 화해

애(愛)
긍정적 감성
문헌자료

   내용보기

당신이 흐트러진 머리를 매만지면서 소반에 다가앉습니다. 숟가락을 쥐더니 양념장을 떠 국수 대접으로 가져갑니다. 양념장이 고루 섞여들게 버무리듯 국수를 뒤적여줍니다. 젓가락으로 바꾸어쥐고 서너 번 더 뒤적이다 국숫발을 건져올립니다. 대여섯 가닥의 국숫발들이 젓가락에 딸려 올라옵니다.

당신의 입이 벌어지기 전에, 애써 들어올린 국숫발들이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간신히 걸쳐져 있던 한 가락의 국숫발마저도 흘러내립니다. 아무래도 당신의 혀가 국숫발을 감당할 자신이 없는 듯해서 나는 숟가락을 집어듭니다. 국숫발들을 뚝뚝 끊기 시작합니다. 오래 전, 당신이 내게 처음 끓여준 국숫발들을 숟가락으로 뚝뚝 끊어냈듯 말이에요. 그렇지만 오래전 국숫발들을 뚝뚝 끊어내던 심정과, 지금 국숫발을 뚝뚝 끊어내는 심정은 분명 다르겠지요. 뚝뚝……뚝. 
말기 암 선고를 받은 계모를 위해 의붓딸이 어머니의 방식대로 국수를 만들어 주는 행동을 통해 그동안의 잘못에 대해 반성하고, 우회적으로 용서를 빈다. 이를 통하여 계모와 의붓딸이라는 불편한 관계가 해소되고, 화해한다. 아이를 낳지 못해 이혼한 경력이 있는 계모를 ‘나’는 한 번도 어머니라 불러본 적이 없다. 처음 집에 와서 계모가 만들어 준 국수는 숟가락으로 국숫발을 끊어내며 불만을 표시했다. 인공수정으로 임신한 아이를 유산한 ‘나’를 찾아와 해준 국수를 먹지 않고 버리는 것으로 거부의 의사를 표현하기도 한다. 인공수정 시술을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하기로 한 날, ‘나’는 무작정 계모를 찾아간다. 그리고는 그녀가 해주었던 것처럼 국수를 만들기 시작한다. 국수를 만드는 과정은 ‘나’가 그간의 무례를 용서받기 위한 행동이기도, 계모를 어머니로 인정하는 행동이기도 하다. 어머니와 ‘나’는 똑같은 아픔을 가지고 있다는 것, 길게 뽑아낸 국숫발은 어머니가 만들어낸 ‘자식’임을, 그리고 그 끈이 어머니의 헌신과 노력으로 만들어진 운명의 끈임을 깨닫게 된 ‘나’는 국수를 만들어 상에 올린다.
혀에 암이 퍼져 국숫발을 감당하지 못하는 어머니를 위해 국숫발을 끊어내는 행동은 과거와 같지만, 그 심정은 분명히 다른 것을 느낀다. 
김숨, [국수], 김영하 외, {옥수수와 나}2012이상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 2012. 
홍단비, [[국수]의 서사 담론에 나타난 치유적 요소 고찰], {인문과학연구}36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