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늙은이의 한탄

애(哀)
부정적 감성
구비전승

   내용보기

옛 냥반이 아들을 여웠어라우. 아들을 여웠는디 사우가 엇찌께 속이 없고 못쓰것던지 사오를 못 얻었다고, 사오 못얻었다고 사둔한테 원정을 오요 그려. 원정을 와서, “자식을 나먼 낳고 말먼 말제 그 따위로 자식을 뒀냐?”고. 사둔 보고 직관을 허요. 그래 남의 자식 신상까정 놓친다고. 아 그러잉께 아무 말도 않고 천장만 쳐다보고 있어. 답변도 없이. 그렁께 안사둔이 게 왔던 게입디다. 안사둔이 옹께 그렁께는 천장만 쳐다보고 있응께, “하 여보쇼. 말대답은 않고 자식 못쓸 버르장이를 잘쳤다고 와서 직관을 허고 가르쳐 도라고 원정을 허잉께는 말씀 대답은 않고 우두거이 천장만 쳐다보고 묵묵부답이 머시오.” 긍께, “늙응께 씰 데 없어.” “늙응께 씰 데 없데니. 자식 버르쟁이를 못 갈칭께 늙은께 머시 쓸 데 없냐고. 자식 버르쟁이도 못 갈치고 그러냐고. 거 늙어서 엇째서 쓸 데가 없오?” 그러고 직관을 헌단 말이여. “허 늙으먼 들고 온 물건을 공수로 보낼라닝까 하도 보낼라니께 서운항께 늙응께 쓸 데 없다고 허요.” 
혼인 시킨 아들의 속없고 좋지 못한 행동으로 사돈이 직접 찾아와 사위로 인해 딸까지 고생시킨다고 직언을 하였다. 이 말을 듣고도 늙은 노인은 장성한 아들에게 꾸짖는다는 말을 할 수 없었다. 자식의 버릇을 고치지 않고 자신의 늙음이 쓸 데 없다고 한숨을 쉰다. 이는 늙으면 들고 온 물건도 내 보내야하기에 늙으면 쓸데가 없어서 버릇을 고칠 수 없다고 한탄한 내용이다. 노인의 자식에 대한 자신 없음과 낙심이 슬픔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고 어떠한 행위도 실천할 수 없는 무력감이 나타나고 있어 슬픔이 심화되고 있다. 
김선풍, 『한국구비문학대계』 2-3, 강원도 삼척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817-818쪽. 
김선풍, 『한국구비문학대계』 2-3, 강원도 삼척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