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어린 딸의 묘지문[幼女壙志]

애(哀)
긍정적 감성
문헌자료

   내용보기

幼女生於乾隆壬子二月二十七日。母以順娩爲孝。始呼爲孝順。旣而父母愛之。切呼之。舌卷聲轉爲好童。稍長澡髮覆額。髧髧紫輭。如蟹螯之毛。故每撫頂復呼以方言曰揭押勃。性仍孝。父母或時忿爭。輒從傍嬌笑兩解之。父母或過時不食。輒嬌語以勸之。生二十有四月。患痘不能膿。旣黶而瀉一晝夜而命絶。 
유녀(幼女)는 건륭(乾隆 청 고종(淸高宗)의 연호) 임자년(1792, 정조 16) 2월 27일에 태어났다. 그 애 어미가 순산한 것을 효(孝)라고 여겨 처음에는 ‘효순(孝順)′이라고 불렀는다. 이윽고 부모의 사랑이 깊어져서 그를 부를 때의 설권음(舌卷音) 때문에 음이 전하여 ‘호동(好童)’ 이 되었다.
조금 컸을 때는 감아빗는 머리가 이마를 덮어 늘어진 품이 게의 촉수와 같았다. 그러므로 늘 정수리를 어루만지며 다시 한글로 ‘게압발(揭押勃)’이라 불렀다.
성품도 효순하여 부모가 화가 나서 다투면 문득 옆에서 웃음지으면서 양편의 화를 모두 풀어 주었으며, 부모가 간혹 때가 지나도록 밥을 먹지 않으면 애교스러운 말로 식사를 권했다.
태어난 지 24개월 만에 천연두를 앓았는데, 발진이 잘 안 되고 검은 점이 되더니 하루 만에 숨이 끊어졌다.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정약용(丁若鏞)이 어려서 죽은 자신의 딸에 대한 애통한 심정을 광지(묘지문)의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정약용(丁若鏞),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1}권,17 [유녀광지(幼女壙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