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죽은 아들에 대한 제문[祭亡兒文]

애(哀)
긍정적 감성
문헌자료

   내용보기

維歲次庚辰十一月己丑朔二十四日壬子。亡兒崇謙之柩。將靷向楊州新卜之原。前二日庚戌。老父涕泣爲文。以侑酒食之奠而與之訣曰。嗚呼崇謙。汝今惡乎往矣。出國門而東三十里。中泠之浦。忘憂之嶺。王宿之灘。北斗之川。此皆汝所嘗騎驢而往來者也。今奈何以柩而就斯路也。環三洲之宅數四里。棲鶻之巖。爛柯之臺。金臺之山。判事之亭。此皆汝所嘗吟詩而眺望者也。今奈何以柩而停其間也。六月之末。汝母入京。汝與諸姊妹隨之。不兩旬而吳妻遽死。吾與汝同往。送葬于廣州之阡。今又未百日而汝死。獨使老父扶櫬而送葬。嗚呼。禍變之酷。人事之不可常。何若是之甚哉。汝旣無子而死。吾身後事。其可知矣。 
경진년 11월 기축삭(己丑朔) 24일 임자에 죽은 아들 숭겸(崇謙)의 널이 양주(楊州)의 새로 잡은 언덕을 향해 발인할 예정이기에, 그보다 이틀 앞선 경술일에 늙은 아비가 눈물을 흘리며 다음과 같이 글을 지어 술과 음식을 올리고 영결하는 바이다.
아, 숭겸아, 너는 지금 어디로 가려느냐? 도성문을 나가 동으로 30리를 가면 있는 중령포(中泠浦), 망우령(忘憂嶺), 왕숙탄(王宿灘), 북두천(北斗川)은 모두 네가 일찍이 나귀를 타고 오가던 곳인데, 지금은 어찌하여 널에 누워 그 길을 가게 되었단 말이냐. 삼주(三洲) 집 주위의 3, 4리 거리에 있는 서골암(棲鶻巖), 난가대(爛柯臺), 금대산(金臺山), 판사정(判事亭)은 모두 네가 일찍이 시를 읊으며 경치를 조망하던 곳인데, 지금은 어찌하여 널에 누워 그곳에 머물게 되었단 말이냐.
6월 말에 네 어미가 서울에 들어갈 적에 너는 누이들과 함께 어미를 따라 갔는데, 20일이 채 못 되어 오 서방(吳書房)의 처가 갑자기 죽는 바람에 나는 너와 함께 가서 광주(廣州)의 언덕에 장사 지냈다. 그런데 지금 또 100일이 채 못 되어 네가 죽어서 늙은 아비 혼자 널을 붙들고 장사를 치르게 하다니, 아, 화변(禍變)의 혹독함과 인사(人事)의 일정치 않음이 어쩌면 이리도 심하단 말이냐. 네가 이미 자식이 없이 죽었으니, 내가 죽은 뒤의 일을 알 만하다.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창협이 죽은 아들 숭겸의 발인에 즈음하여 망자에 대한 그리움과 애통함을 제문으로 표현하였다. 
김창협(金昌協), {농암집(農巖集)}권30, [제망아문(祭亡兒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