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이 유인(李孺人)에 대한 애사 [李孺人哀辭]

애(哀)
긍정적 감성
문헌자료

   내용보기

崇禎辛酉三月某日。驪興閔君靜能之室孺人延安李氏。娩而得女。越幾日某甲。遂以疾卒。其年廑二十四。於是安東金昌協。喪其妹纔數月矣。聞孺人之喪。泫然泣下曰。甚矣。孺人之窮。似吾妹也。女子之嫁。莫不願有子。此人之情。而詩人所以歌芣苡也。今乃以是祟其身。遂至於死喪。而嗣續之事。亦無賴於是焉。此天下之至戚也。吾妹不幸旣嬰是禍矣。而今孺人乃復罹此也。卽其年命夭促而志意掩抑。以重貽父母之哀者。又無不相似也。豈其運氣之不佳而所値者同耶。天之於吾人。抑何甚哉。雖然。以孺人而視吾妹則亦多矣。吾妹年甫十六。嫁纔三歲。而生不得一登舅姑之堂。以成其爲婦。沒又不保其遺孩。而並命於旬日之間。是其死生終始。無一不窮者。而今孺人之年。則視吾妹已加八歲矣。又能歸事尊章。以效其婦道。而呱呱之兒。今且無恙。其成長或可幾也。以此言之。豈不亦多矣哉。雖然。自吾之哭吾妹。聞人死喪有髣髴於吾妹者。輒爲怛然傷心。 
숭정(崇禎) 신유년 3월 아무 날에 여흥(驪興) 민군 정능(閔君靜能)의 아내 유인 연안 이씨(延安李氏)가 해산하여 딸을 낳고 며칠 뒤인 아무 간지 날에 마침내 병으로 죽었는데, 그 나이가 겨우 24세였다. 이때에 안동 김창협은 누이를 잃은 지 겨우 몇 개월밖에 안 되었는데, 유인의 상을 당했다는 말을 듣고는 눈물을 뚝뚝 흘리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유인의 기구함은 참으로 내 누이와 닮았다. 여자가 시집을 가면 누구나 자식을 두고 싶어 하는데, 이는 인지상정으로 시인도 이 때문에 〈부이(芣苡)〉 시(詩)를 노래했던 것이다. 그런데 지금 그것이 몸을 해쳐 마침내 죽음에 이르고 대를 잇는 일에도 아무런 보탬이 없게 되었으니, 이는 천하에 더없이 슬픈 일이다. 내 누이가 불행히 그런 화를 당하더니 지금 유인도 그런 화를 당하여, 수명이 짧고 뜻을 펴지 못하여 부모를 매우 슬프게 한 점이 모두가 닮았으니, 어쩌면 이 두 사람은 운수가 좋지 못하여 같은 화를 당한 것인가? 하늘은 우리 사람들에게 어찌하여 이리도 심하게 군단 말인가.
비록 그렇기는 하나 유인은 내 누이에 비해 그래도 다행한 편이다. 내 누이는 겨우 16세에, 그것도 시집간 지 겨우 3년 만에 죽어, 생전에 한 번도 시부모의 당(堂)에 올라 며느리 노릇을 해 보지 못하였고, 죽어서도 아이를 보존하지 못하여 열흘도 못 되어 운명을 함께하였으니, 이는 살아생전에나 죽은 뒤에나 무엇 하나 기구하지 않은 점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유인은 운명할 때의 나이가 내 누이에 비해 8세나 더 많았고 게다가 시댁으로 돌아가 시부모를 모시며 며느리의 도리를 행할 수 있었으며, 으앙대는 아이가 지금까지 아무 탈이 없어 잘 자라 주기를 기대할 수가 있다. 이로 볼 때 어찌 누이보다 낫다 하지 않겠는가.
비록 그렇기는 하나 나는 누이를 곡한 뒤로, 누군가의 죽음이 내 누이와 비슷하다는 말을 들으면 매우 서글퍼지곤 한다.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창협이 민정능의 아내 연안 이씨가 해산 후 후유증으로 죽자 출산 후에 죽은 자신의 누이가 생각나서 애사로 망자에 대한 애통함을 표현하였다.  
김창협(金昌協), {농암집(農巖集)}권30, [이유인애사(李孺人哀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