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전처 딸 죽인 계모

노(怒)
부정적 감성
구비전승

   내용보기

그 우리가 생활정도로 살 때는 서로가 이 팔자가 그 좀 잘 못 타고 나가지고 왜 부부생활을 할 때 내가 말하자면 요새 그 과택(寡宅)이가 되거나 호래비가 된다든가 말이지요 이런 수가 지금도 있고 옛날에도 흔히 있쟎어요?
그-김좌수(金座首)라고 하는 분이 김좌수라고 하는 분이 상처를 했다 이겁니다. 아들 하나 딸 둘을 딱 놓고 그 좌수 양반이 참 저 혼자 돼서 기시는데, 그 모두 인저 중매 혼처가 많이 들어온다 이겁니다.
“아 민혼(재혼)하시라구 좌수어른 민혼하시라.” 구.
“그 난 아직 맘에 없어. 맘에 없다.”
고. 그래도 인제 그 친구도 많고 그러니께 근접 바람에 민혼을 이 좌수양반이 하신 겁니다. 하고서 좌수양반은 인제 그 관가에로 자주 들랑거리고 이런게 탁- 믿고 집안 가정은 뭐 탁- 믿고 돌볼 여지가 없다 이거요. 어떻게 계모가 들어와가지구 그 자식들한테 하는 것이 얼마나 못되게 했는지 옛날에 목화 갈고 바느질 시키고 그 뒷방에 갖다 딱- 저 전실 딸을 몰아 놓고,
“바느질해라. 바느질해라.”
장 것다(거기다) 갖다 몰아넣고 거서 인제 바느질만 시킨다 이거라. 근데 자기 남편 언제 관가에서 돌아온다. 돌아오면 그렇게 자기 딸을,
“나 이래 들어와도 샌님하고 내가 이렇게 믿고 사는 게 아니라 전실 딸을 딸을 믿고 삽니다.”
아 이렇게 얘길 해주거던. 아 좌수가 그만 탁 믿었단 말여. 자 이놈의 뒷방에 가 앉아서 저물도록 바느질만 하고 목화 따 가지구 목화 송오리 밧고 뭐 이 생전 먹을걸 주나 점신도 안 주지. 아즉(아침)이라고 주는 거는 죽만 주고 그래 그만 저 형제 끌어안고 울었습니다.
“아이고 너하고 나하고 참 우리 계모님이 오신 후로 지성껏 계모를 한 번 섬겨보자. 우리 계모님을 한 번 섬겨보자. 우리가 잘못했다.”
그런데 지 동생이 여덜살 먹었단 말이여. 게 요건(형은) 열 한 살이라. 즈 형제가 그렇게 같이 가요. 눈물을 흘리면서 우리 계모님을 섬겨보자. 배가 고파서 제일 여덜살 먹은 게 뭘 압니까?
“언니 나 밥좀 줘. 배가 고파 못 견디겠어.”
안줘. 계모가. 그래 일만 덮어놓고 시키는거고. 만날 가둬놓고. 눈물을 흘리면서 이래 가지고 있는데 한날은 자기 남편. 관가에서 떡 돌아오는데 자기 남편에게 하는 말이,
“참 내가 이런 소릴 부부간에 안할려고 들었드니 참 이거 하도 인제 탄로가 날 일인께 내 인저 이런 얘길 한다.” 고 하면서,
“외간남자가 편지를 갖다 써가지고.” 말로 요새 말하면 연애편지라.
“그 문 앞에 이래가지고 있는 걸 이 편지를 갖다 이 이래 놨으니 이거 남한테 얘기도 못하고 참 얘길하면 소문나면 내가 잘못했다 그랬다 할까봐 이 계모가 잘못해서 이랬다고 소문이 날까봐 이전 내 한번 덮어뒀는데 요번 두 번째 이게 왔오.”
그거 내내 자기가 편지를 그래 맨들어가지구 인제 자기 남편한테 그렇게 한다 이거여. 주인이 통천관(通天冠)을 쓰고 어 좌수가 가만-히 생각해 보니께 참 기가 막혀.
“이런 양반의 집안에서 이런 고얀 놈의 향-향사가 나다니 안되겠다. 천상 우리 집이 안 망할라면 저들이 인생은 불상하지만 우리 집이 망하지 않을라면 저 연못에 갖다 밤에 갖다 남도 모르게 갖다 넣을 수밖에 없다.”
참 야심경에 우수 달밤에 달은 새벽녘에 돌아오는데 자기 종놈을 시켜 가지구,
“저 물에 갖다 넣라. 연못에 안된다구 둘을. 이런 양반의 집에서 그래 가문이 망할 모양이니 거 안된다. 인생을 불상하지만.”
저 둘을 데리구 가 이 종이 물에다 그만 떠다 밀어가지구 그 연못에 물에다 갖다 넣단 말여. 넣고 난께 저 계모 맘에는 얼마나 그 속으로 좋을끼여. 개운하길 말도 못한다 이거여. 그래가지구 나가는데 그 고을 관가의 원님이 하루저녁에 이렇게 [벽에 몸을 기대면서] 하고 있으니께 우짠 어린 처녀들이 둘이 서로 손을 잡고 원님 꿈에 이래 누었는데 꿈에 인저 손을 잡고 둘이 온다 이거여. 완연히, 완연히 온다. 그러다 원이 인제 그걸 보고 퍼-득 잠이 깼다 이거라요. 잠이 깨가지고,
“아 그 간반에 꿈이 참 이상하다. 동헌에서 내가 이 동헌에서 내가 이런 꿈을 꾸고 보니 처음인데 우짠 일인고?”
이 고을에 무슨 거시기가 있다는 걸 속으로 꼭 생각 안하고 있는데 그 이튿날 꿈에 또 그래가지구 온단 말이여. 완연히 꿈에. 또 인제 둘이, 즈들 두 형제가 손을 잡고 온단 말여. 그래 원이 그 이튿날 저녁에는,
“누구냐?” 물으니께 절을 너북이 원님한테 하더니만은,
“이 고을에 사는 김좌수의 따님올시다. 김좌수의 딸인데 이 계모님이 들어오신 후로 이렇게 우리를 박댈 해가지구 이렇게 해서 우린 이거 연못에 가서 우린 죽었습니다. 죽었습니다. 이래서 그 원정을 좀 드릴랴고 이래 왔습니다.” 이런 소릴 하거든.
“그리여?”
“그래서 이 심천동 연못이라는 그 연못에 우리 시체가 썩질 안하고 있습니다. 썩질 안하고 있습니다.”이거여. 그래 그 원님이 [청중 : 원혼이 됐구먼.] 예. 원님이 자기 속으로만 알지 발표는 안했어. 발표를 하지 않고서.
“저 심천동 가서 물을 전부 퍼라.” 고만 퍼락했어.
“그 연못의 물을 물을 짝 다라붙여 봐라.”
고만 명령을 그래 내렸어. 내려 놓으니께 과연 어린 처녀들 둘 시체가 언제 빠졌는지 모르지만 하나도 썩질 않고 고대로 누어서 꼭 산사람, 일방 빠진 사람 매루 고래 시체가 딱 요래 누어가지구 있더람니다. 그 시체를 딱 건져 내놓고 원님이 그 좌수를 불러댔습니다.
“이게 누구, 누구 집 자손이냐?” 물으니께. 그 좌수님이 말도 않고서 눈물만 자꾸 흘린다 이겁니다. 눈물만.
“그게 어 우떻게 돼서 그런 일이 있나?”이 원님이 물으니까 좌수가,
“내 후처를 내가 얻어 얻긴 얻었지만 가정이 이래 될 줄은 몰랐습니다.” 지가 자기 딸을 갖다 넣단 소릴 못했지. 원님 앞에. 물에 갖다 죽였다 소릴 못해.
“그려? 그 니 처를 이리 내세워봐라.” 불러 내놓고,
“종로 사거리에다 그냥 그냥 당장 죽여도 이건 죄가 그 대까(代價)가 안된다. 안 되니께 남의 집에 살러와가지구 그 집이 잘못된 집이라면 지가 잘 되두룩 잘 사는게 본능이지 너는 목숨은 죽지만은 죽는 목숨이라도 넌 보통 죽어서 안 .”
하꼬(상자)를 요래 짜가지고 요 사거리 복판에다 딱 하꼬에다 놓고서,
“이리 들어가!”
그 여자를 하꼬 속에다 넣는겁니다. 너놓고 사거리에 저기서도 오고 저기서도 오고 동서남북으로 뻗힌 길인데 복판에다 딱 갈라놓고 큰 톱을 하나 얹어 놨어요. 톱을 하나 얹여 놓고,
“우쨌던지 오는 사람 가는 사람 여 한번씩 때리고 가라. 이 톱만.”
그래 하도 이 사람 저 사람 가는 사람 그 한번씩 때리면 그 하꼬가 다 이 건너갈꺼 아닙니까? 그렇게 그 원수를 갚아 주더랍니다. 죽은 사람이야 싹 죽었지만. 
1남 2녀의 자식을 두고 김좌수의 부인이 죽었다. 주변의 권유로 후처를 들였다. 계모가 들어오면서 딸들을 학대와 모략을 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죽은 딸들은 원귀가 되어 고을 원님 꿈에 나타나 자신들의 억움함을 호소하였다. 원님은 김좌수와 후처를 불러, 모욕감과 노여움을 가진 채 죽은 원귀들의 억울함을 풀어 주었다. 
김영진, {한국구비문학대계} 3-4, 충청북도 영동군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692-696쪽. 
김영진, {한국구비문학대계} 3-4, 충청북도 영동군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