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반상의 구분을 각인시킴

노(怒)
부정적 감성
문헌자료

   내용보기


“네 이녀언.”
벽력 같은 고함 소리가 쩌엉, 울리며 공기의 폭을 갈랐다. 뒤꼭지를 할퀸 사람처럼 자지러지며 돌아선 민촌 아낙은, 가마 문을 열고 나와 우뚝 서 있는 청상(靑孀)을 보았다.
얼른 보아도 이십 미만의 여인이 분명한데 어디서 그런 서릿발이 돋는 것일까. 마흔이 훨씬 넘었을 아낙은 주춤, 그 자리에 서서 어쩔 줄을 몰랐다. 그제서야 객줏집 평상과 마루에 앉아 있던 사람들은 두렵게 웅숭웅숭 일어나 길목으로 나왔다.
햇발 아래 청상의 소복은 날이 선 푸른 빛을 눈부시게 뿜어냈다.
“저년을 잡아 오너라.”
부인은 말끝을 칼날같이 잘랐다. 아직 부인이라기에는 애띠고 어린 여인의 분부라지만, 감히 누구도 말을 붙일 수가 없는 위엄이 전신에 어렸다. 그래서 교군꾼 두 사람이 가까이 그 아낙의 곁으로 걸어가기도 전에, 아낙은 저절로 주저앉고 말았다.
 
어린 청상인 청암부인이 자신을 업신여기는 동네 아낙에게 모욕감을 느끼고서 호통을 치는 부분이다. 청암부인은 가마 안을 몰래 들여다 본 아낙에게 호통을 치며 노여움을 표출함으로써, 어리지만 종부로서의 위엄을 여실히 보여 준다. 이는 어린 청상이라고 해서 업신여길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반상의 구분이 확실함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켜주는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최명희, {혼불} 1권, 27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