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DB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를 클릭하십시요.


   가을바람에 실은 노년의 비애

애(哀)
긍정적 감성
문헌자료

   내용보기

 
“글을 읽던 구양수는 어디선가 들려오는 이상한 소리를 들었다. 바람소리 같기도 하고, 물결이 솟구쳐 파도가 몰아치는 소리 같기도 하며, 쇠붙이가 부딪치고 병사들이 질주하는 것 같으며 말이 내달리는 소리 같았다. 그는 동자에게 나가 살펴보라고 한다. 동자는 별과 달이 밝은 밤에 밖에 인적은 없고 소리는 나무숲 사이에서 난다고 하였다. 이에 구양수는 이 소리가 가을의 소리임을 깨닫는다. 그는 ‘슬프구나! 그것이 가을소리로다, 어찌하여 왔는가?’ 하면서 산천이 적막해지는 가을의 자연현상과 인간사를 연관시켜 인생의 무상함을 탄식하였다.” 김홍도, <추성부도>, 1805년 1058년 중국 북송 대, 52세 초로의 문인 구양수(1007~1072)는 어느 날 가을바람이 부는 소리를 듣고 만물이 조락하는 계절의 변화를 새삼 느꼈다. 이에 자연현상의 추이와 인간생활을 연관시켜 인생의 덧없음을 탄식하며 「추성부(秋聲賦)」를 지었다. 노년의 쓸쓸함을 가을 바람소리에 비유하여 읊은 구양수의 「추성부」는 그 내용의 절절함과 문장의 유려함 등으로 송대 문학에서 문부 형식의 백미로 손꼽히며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되었다. 이를 그림으로 그린 <추성부도> 또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문인들 사이에서 수 백 년의 시차를 두고서도 끊임없이 그려졌다. 700여년이 지난 어느 날 조선의 화원화가 김홍도는 구양수의 「추성부」에 공명하여 <추성부도>를 그렸다. 그림은 달이 뜬 한 밤중에 낮은 언덕에 둘러싸인 초옥 가운데서 한 선비가 밖을 내다보며 앉아있고 동자는 손을 들어 허공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추성부」의 내용 중 구양수가 글을 읽다가 서남쪽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듣고 동자에게 무슨 소리인가 묻자 동자가 숲을 가리키며 “달 밝고 별이 총총한데 은하수만 떠 있을 뿐, 사방에는 인적이 없으나 숲속에서 소리가 난다.”는 구절을 형상화 한 것이다. 그림의 내용과는 달리 김홍도가 왼편에 옮겨 쓴 「추성부」의 일부는 추성부의 마지막 부분이자 구양수가 가을소리를 매개로 이 글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인생무상의 슬픔을 담은 구절이다. <추성부도>를 그린 1805년 무렵 김홍도는 정조대 최고의 화원화가라는 명성은 간데없고, 병들고 가난하여 무척이나 고단한 처지에 있었다. 이 그림을 끝으로 더 이상 기년작도 없고 그의 몰년 또한 바로 다음 해인 1806년으로 생각되어 <추성부도>는 그의 만년작이라 할 수 있다. 구양수의 「추성부」가 자연의 순환에 따른 자연의 이치를 깨닫는 순간을 읊은 것이라면, 김홍도의 <추성부도>는 이에 공명하여 인생의 가을날 쓸쓸한 자신의 처지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둘 사이에 매개가 된 것은 가을바람소리(秋聲)이다. 구양수의 「추성부」가 단순히 자신이 늙어가는 것에 대한 쓸쓸함만이 아니라 한 나라의 재상이자 명문장가인 그로서도 어찌 할 수 없는 인간존재의 무상함을 노래한 것이듯, 김홍도의 <추성부도>는 한 시대를 풍미한 화가였지만 화원이라는 중인신분의 한계, 그로 인해 시대가 바뀌자 더 이상 알아주는 이도 쓰임도 없는 한 인간의 슬픈 감정을 그림에 녹여 낸 고독한 독백이다. 18세기에 활동한 정선과 김홍도의 작품은 직접적으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나 슬퍼하는 장면을 그리진 않았다. 그럼에도 짙게 낀 비안개나 황량한 가지만으로 그 쓸쓸함을 공감할 수 있는 것은 친구를 잃은 설움이나 노년의 비애는 시공을 넘어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는 삶의 문제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선옥, <눈물로 그린 그림>, <<우리시대의 슬픔>>,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3. 140-142쪽.  
정명중 외저, <<우리시대의 슬픔>>, 감성총서 7,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3.  
  [감성총서 제7권]우리시대의 슬픔, 140페이지    E-BOOK 바로가기